기후동행카드는 단순한 교통 정기권이 아닙니다.
서울시가 제공하는 다양한 요금 할인 혜택과 문화시설 제휴 할인까지 활용하면 훨씬 더 실속 있게 사용할 수 있죠.
특히, 청년 할인제도 외에도 2025년 7월부터는 다자녀 가구와 저소득층까지 확대된 할인 혜택이 본격 도입되어,
더 많은 시민들이 교통비 부담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청년 할인제도 (2025년 기준)
- 대상: 만 19~39세 (군복무 등 이행자는 만 42세까지 인정)
- 의무복무 제대군인은 복무 기간에 따라 할인 적용 기간을 연장 신청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 5년 미만: 3년 연장
- 1년 이상 ~ 2년 미만: 2년 연장
- 1년 미만: 1년 연장
- 신청 방법: 정부24 회원가입 및 전자문서지갑 발급 후 온라인 신청 가능
- 의무복무 제대군인은 복무 기간에 따라 할인 적용 기간을 연장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청년요금:
- 대중교통 전용: 55,000원
- 대중교통 + 따릉이: 58,000원
- 일반요금과의 차이: 최대 7,000원 할인
- 인증 방식:
- 최초 1회 연령 인증 필요 (티머니 카드&페이 또는 모바일티머니 앱)
- 6개월마다 자동 재인증 시스템 운영
다자녀·저소득층 할인 (2025년 7월 도입 예정)
구분 | 대중교통 전용 30일권 | 대중교통+따릉이 30일권 |
일반 | 62,000원 | 65,000원 |
청년 | 55,000원 | 58,000원 |
2자녀 가구 | 55,000원 | 58,000원 |
3자녀 이상/저소득층 | 45,000원 | 48,000원 |
- 적용 방식:
- 보건복지부 연계 시스템으로 자격 자동 확인 (비대면)
- 할인 대상자는 티머니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
후불형 기후동행카드란?
후불형 기후동행카드는 신용/체크카드 기반으로, 지정된 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하되 월 부담 한도까지만 요금이 청구되는 방식입니다.
- 카드 발급사: 신한, 국민, NH농협, 롯데, 삼성, BC바로, 현대, 하나, 우리카드 등
- 카드 등록 필수: 발급 후 반드시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서 카드 등록을 해야만 월 부담한도가 적용됩니다. 등록하지 않으면 전체 이용금액이 청구됩니다.
- 모바일카드 불가: 실물 카드로만 사용 가능 (모바일티머니 앱 등 NFC 이용 불가)
- 적용기간: 매달 1일~말일까지, 다음 달에 교통 사용 요금이 청구됨
✅ 대중교통 월 부담한도 (일할 계산)
이용 일수 | 고객 월 부담 한도 |
28일 | 58,000원 |
29일 | 60,000원 |
30일 | 62,000원 |
31일 | 64,000원 |
예시: 12월 15일에 등록한 경우 → 15~31일까지 17일 × 2,000원 = 34,000원 한도 적용
✅ 따릉이 월 부담한도
이용 횟수 | 월 부담액 |
미이용 | 없음 |
1일 | 1,000원 |
2일 | 2,000원 |
3일 이상 | 3,000원 |
- 단, 대중교통 한도 미만 이용 시 따릉이 포함 월 최대 5,000원까지 청구 가능
✅ 후불형 카드 주의사항
- 카드 삭제/변경 시 기존 카드 혜택은 말일까지 적용, 새 카드 한도는 등록일 기준 일할 계산
- 하차 미태그 2회 누적 시 24시간 사용 정지 (매월 1일 초기화)
- 서울시 지정 대중교통 외 지역 하차 시 별도 요금 발생
※ 청년 할인은 선불/후불 중 1카드만 적용 가능하며, 동일 기간 중복 할인은 불가합니다.
제휴 문화시설 할인 (2025년 기준)
기후동행카드를 등록하면 서울시와 협약된 다양한 문화시설 할인 혜택도 누릴 수 있습니다.
✅ 서울시 공식 제휴처
- 서울시립과학관: 입장료 50% 할인
- 서울식물원: 입장료 50% 할인
- 서울대공원: 입장료 50% 할인
- 서울로봇인공지능과학관: 입장료 50% 할인
- 서울달 (Seoul Ring): 탑승료 10% 할인
- 빛의 시어터: 현장 예매 시 30% 할인 (2025년 12월까지, 동반 1인 포함)
- 페인터즈 (경향아트힐, NH아트홀 공연): 입장료 30% 할인 (동반 1인 포함)
✅ 이용 방법
- 기후동행카드 실물 제시 또는 카드 등록된 앱 인증 필요
- 제휴처별로 할인 적용 방식이 다르므로, 방문 전 확인 권장
📌 최신 제휴처와 할인율은 반드시 서울시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FAQ)
Q1. 기후동행카드는 누구나 발급받을 수 있나요?
만 6세 이상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청년·다자녀·저소득층 할인은 자격 충족 시에만 적용됩니다.
Q2. 선불형과 후불형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선불형은 충전 후 사용하는 티머니 카드이며, 모바일·실물 모두 가능합니다.
후불형은 신용/체크카드 기반으로, 실물 카드만 사용 가능하며 월말 정산됩니다.
Q3. 따릉이는 어떻게 이용하나요?
기후동행카드 등록 후, '티머니GO' 앱에 카드번호를 등록하면 하루 1회, 2시간 무료 이용 가능하며, 월 최대 3,000원까지만 청구됩니다.
Q4. 할인 자격이 변경되면 어떻게 되나요?
연령 초과 또는 자격 미충족 시 다음 이용권부터 일반요금으로 자동 전환되며, 청년 할인은 6개월마다 자동 재인증됩니다.
Q5. 문화시설 할인은 어떻게 받나요?
실물 카드 제시 또는 등록된 카드 정보 인증 방식으로, 제휴처별로 할인 방식이 다릅니다.
일부는 현장 예매 시만 할인 적용됩니다.
마무리 TIP
기후동행카드는 단순한 교통 정기권이 아니라, 청년·다자녀·저소득층 할인과 문화시설 제휴까지 제공되는 종합 교통복지 서비스입니다.
서울을 자주 오가는 분이라면 월 수만 원 교통비 절감은 물론, 문화생활까지 알뜰하게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앞으로도 서울시의 서비스 확대로 더 많은 혜택이 추가될 예정이니,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최신 정보를 꾸준히 확인해 주세요.
🔗 기후동행카드, 어떻게 신청하고 사용하는지 궁금하다면?
기후동행카드란? 요금제·사용법·신청방법 총정리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가 운영하는 ‘선불형’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 일정 금액을 미리 충전해 두고, 30일 또는 단기 기간 동안 지하철, 버스,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정액제 패
1950-ninabuschmann.tistory.com
'정책 & 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급여 언제까지 받을 수 있을까? (2025년 기준 + 보육료 전환 가이드까지 총정리) (2) | 2025.06.01 |
---|---|
2025년 아동수당 신청방법|언제까지? 나이·지급일 총정리 (0) | 2025.05.25 |
기후동행카드란? 요금제·사용법·신청방법 총정리 (0) | 2025.05.20 |
청년 구직자를 위한 단계별 코스 |수당부터 취업까지! (2025년 최신) (2) | 2025.05.19 |
2025년 요양보호사 자격증 취득법 | 국비지원부터 시험까지 (0) | 2025.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