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에도 경기도에서는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보편지원 사업을 시행합니다.
이번 지원 사업을 통해 여성 청소년(출생년도 07.1.1~14.12.31)에게 월 14,000원(연 최대 168,000원)의 지원금을 경기지역화폐로 지급합니다.
이 글에서는 신청방법, 제출서류, 지원 내용 등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2025년 경기도 여성청소년 생리용품 지원 신청 방법
신청대상
✔ 연령 기준: 여성 청소년(출생년도 07.1.1~14.12.31)
✔ 거주 지역: 경기도 24개 시·군 중 하나에 주소 또는 거소지를 둔 청소년
✔ 참여 시·군: 화성, 안산, 평택, 안양, 시흥, 김포, 의정부, 광주, 하남, 광명, 군포, 양주, 오산, 이천, 안성, 구리, 의왕, 포천, 양평, 여주, 동두천, 과천, 가평, 연천
✔ 중복 불가: 여성가족부 취약계층 생리용품 지원사업과 중복 지원 불가
신청 방법
구분 | 온라인 신청 기간 | 신청 가능 시·군 |
1차 | 3.04.(화) 09:00 ~ 4.11.(금) 18:00 | 화성, 평택, 시흥, 오산, 의정부, 양주, 구리, 포천, 동두천, 가평, 연천 |
3.06.(목) 09:00 ~ 4.11.(금) 18:00 | 안산, 안양, 김포, 광주, 광명, 하남, 군포, 이천, 안성, 의왕, 양평, 여주, 과천 | |
2차 | 6.30.(월) 09:00 ~ 8.01.(금) 18:00 | 안산, 안양, 김포, 광주, 광명, 하남, 군포, 이천, 안성, 의왕, 양평, 여주, 과천 |
7.03.(목) 09:00 ~ 8.01.(금) 18:00 | 화성, 평택, 시흥, 오산, 의정부, 양주, 구리, 포천, 동두천, 가평, 연천 |
💡 오프라인 신청은 2025년 3월 4일(화)부터 11월 14일(금)까지 수시 접수 가능합니다!
✔ 신청자: 청소년 본인, 보호자 또는 주양육자
✔ 신청 방법:
- 온라인 신청: 경기민원24에서 접수
- 오프라인 신청: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제출서류 (오프라인 신청 시 필요)
신청자 유형 | 제출서류 |
청소년 본인 신청 | 신청서 1부, 신분증 사본(주민등록증, 여권, 청소년증 등) |
대리인(보호자) 신청 | 신청서 1부, 대리인 신분증 사본, 가족관계증명서 |
청소년 양육자 신청 | 신청서 1부, 대리인 신분증 사본, 후견인 증명서 등 |
시설 거주 청소년 | 신청서 1부, 시설 거주 증명서 |
✔ 행정정보공동이용으로 확인 가능한 서류: 주민등록초본, 한부모·기초·차상위 자격정보
✔ 직접 첨부해야 하는 서류: 주민등록초본(행정정보 연계 미지원 시), 가족·기타 관계 확인 서류
지원 내용 및 사용 방법
항목 | 내용 |
지원 대상 | 여성 청소년(07.1.1~14.12.31 출생, 경기도 24개 시군 거주) |
지원 방법 | 경기지역화폐 지급 (모바일 발급 원칙, IC카드 가능) |
사용 기한 | 2025년 12월 31일까지 (미사용 금액 소멸) |
사용 가능 매장 | CU, GS25, 세븐일레븐, 이마트24 (추후 확대 예정) |
구입 가능 품목 | 생리대, 탐폰, 생리컵 등 |
👉 지원금은 경기지역화폐로 지급되며, 편의점 가맹점에서 생리용품 구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사용 기한(2025년 12월 31일) 이후에는 자동 소멸되므로 꼭 기한 내 사용하세요!
▼더 많은 가맹점 알아보기
신청 전 확인하세요!
✔ 여성가족부 취약계층 생리용품 지원사업과 중복 지원 불가
✔ 1차 신청 기간에 신청하지 못한 경우 2차 신청 기간 이용 가능
✔ 온라인 신청이 어려운 경우 행정복지센터 방문 신청 가능
📌 경기민원24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
📢 경기도 여성청소년이라면 꼭 신청하세요!
💖 생리용품 구매에 대한 부담을 덜고, 건강한 생활을 지원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유용한 정보 더 알아보기
2025년 경기도 대안교육기관 학생 교복 지원 신청 방법 및 대상자 안내
2025년 경기도 대안교육기관 및 타 시·도 중·고등학교 입학생을 위한 교복 지원금(최대 40만원)이 지급됩니다! 😊 신청 방법, 대상, 제출서류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릴게요. ✅ 신청 방법부터 꼼
1950-ninabuschmann.tistory.com
생리가 늦어질 때 (주요 원인과 해결 방법)
보통 생리 주기는 21~35일 사이로 규칙적이지만, 예상한 날짜보다 생리가 늦어지거나 건너뛰는 경우가 있습니다생리 지연은 일시적인 경우도 있지만, 호르몬 문제나 특정 질환의 신호일 수도 있
nina1990.tistory.com
'정책 & 지원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유아학비 지원 총정리 – 신청 방법과 지원 금액 안내 (0) | 2025.03.12 |
---|---|
2025년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신청 방법 및 지원 내용 (0) | 2025.03.11 |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 안내 (1) | 2025.03.10 |
2025년 경기도 대안교육기관 학생 교복 지원 신청 방법 및 대상자 안내 (0) | 2025.03.10 |
2025 경기도 맘튼튼 축산물 꾸러미 지원 신청 방법 및 대상자 안내 (0)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