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 & 지원금

2025 한부모가정 지원금 총정리|청소년 한부모·중복 수급 가능 여부 포함

by Nina1950 2025. 4. 25.

2025년 한부모가정 지원 제도가 한층 강화되어 아동양육비, 교육비, 청소년 한부모 맞춤 지원금 등이 확대되었습니다.
소득 기준 등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경제적 부담을 덜고 자녀의 안정적 성장을 돕는 다양한 혜택을 신청할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2025년 한부모가정 지원금 종류, 소득 기준, 신청 방법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2025년 한부모가정 대표 지원금

아동양육비

  • 지원금액: 자녀 1인당 월 23만 원

추가 아동양육비

  • 지원금액: 자녀 1인당 월 5만 원(조손가정, 35세 이상 미혼 한부모의 5세 이하 자녀 등)

교육비(학용품비 등)

  • 지원금액: 자녀 1인당 연 9만 3천 원(중·고등학생), 고교 입학금·수업료 실비 지원

 자녀 수 제한 없이, 조건을 충족하는 자녀 각각에게 별도 지급됩니다.
예를 들어, 해당 조건을 충족하는 자녀가 2명이면 2배, 3명이면 3배까지 지원됩니다.


한부모가정 지원금 신청 기준 (2025년 기준)

한부모가정 지원금은 단순 소득 기준만 충족한다고 자동 지급되는 것이 아닙니다.
소득 + 재산 + 기타 요건을 모두 만족해야 신청 가능합니다.

 

 1. 소득 기준

  •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
  • (자세한 기준은 아래 본문 소득 기준표 참고)

 2. 재산 기준

  • 자동차 가액 1,000만 원 이하
  • 주택, 임차보증금, 금융재산 등 포함 전체 재산 심사

3. 기타 요건

  • 만 18세 미만 자녀를 실제로 양육 중인 한부모, 조손가정, 청소년 한부모
  • 고등학생은 졸업 연도 12월까지 포함
  •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여야 함
  • 미혼모·미혼부도 포함됨

나도 지원 대상일까?

복지로 모의계산을 통해 간단하게 확인해볼 수 있어요.

👉복지로 모의계산 바로가기

 

 

한부모가정 소득 기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63% 이하)

가구원 수 월 소득 기준
1인 1,506,968원
2인 2,477,575원
3인 3,165,972원
4인 3,841,597원

 

※ 소득인정액이 위 기준 이하면 지원 가능


청소년 한부모가정(만 24세 이하) 맞춤 지원

가구원 수 65% 이하 (현금 지급) 72% 이하 (증명서 발급)
2인 2,556,228원 2,832,314원
3인 3,266,479원 3,572,589원
4인 3,963,552원 4,390,397원

 

  • 65% 이하: 아동양육비(월 37만 원), 학습지원비, 자립촉진수당 등 현금 지원
  • 72% 이하: 한부모가족증명서 발급 → 통신·전기·도시가스요금, 각종 수수료 감면 등 감면서비스 이용 가능

※ 청소년 한부모(만 24세 이하) 지원금도 자녀 수 제한 없이 자녀 1인당 지급됩니다.


한부모가족증명서로 받을 수 있는 감면서비스

  •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인감증명서, 자동차등록증, 지방세 납세증명서 등 각종 공공서류 수수료 면제
  • 통신비, 전기·도시가스요금 감면
  • 고속도로 통행료, 시내버스·지하철 요금 할인 등 교통비 지원

신청 방법 및 필수 서류

신청 방법

 

온라인: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복지로 지원금 신청 바로가기

 

오프라인: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읍·면·동사무소) 방문 


필수 서류 (온라인·오프라인 공통)

  • 신분증
  • 가족관계증명서
  • 주민등록등본
  • 소득 및 재산 증빙서류 (예: 건강보험료 납부확인서, 소득·재산 신고서 등)
  •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
  • 통장 사본
  • 임대차계약서 (임차 거주자에 한함)

한부모가정 지원금, 이것도 궁금해요 (Q&A)

 

Q1. 소득이나 가족구성에 변동이 생기면 어떻게 하나요?


A. 취업, 이직, 자녀 상황 등 변동이 생기면 즉시 행정복지센터나 복지로에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하지 않으면 부정수급 처리로 인해 환수 또는 제재가 발생할 수 있어요.

 

Q2. 신청 서류가 빠지면 어떻게 되나요?


A. 누락된 서류는 기한 내 보완 제출하면 문제없이 접수됩니다.
하지만 제출 기한을 넘기면 신청이 취소될 수 있으니 꼭 기한을 확인하세요.

 

Q3. 지원금 신청 후 언제부터 받을 수 있나요?


A. 소득·재산 조사 등 심사 절차 후 보통 1~2개월 이내 결과가 통보되며,
승인되면 매월 20일 전후에 지원금이 지급됩니다.


한부모가정 지원금, 중복 수급 가능할까?

구분 중복 가능 여부
같은 성격의 지원금 중복 불가
성격이 다른 지원금 중복 가능

대표적인 중복 수급 가능/불가 사례

지원금 1 지원금 2 중복 수급 가능 여부 비고
한부모가정 아동양육비 기초생활 생계급여 가능 2021년 이후 법 개정
한부모가정 아동양육비 위기청소년 특별지원금 가능 성격 다름
한부모가정 아동양육비 가정위탁 양육보조금 불가 둘 중 하나만 선택
한부모가정 교육비 기초생활 교육급여 불가 둘 중 하나만 선택
한부모가정 생활보조금 기초생활 생계급여 불가 둘 중 하나만 선택
한부모가정 교육비 장애인 교육비 지원 불가 둘 중 하나만 선택

📌 같은 성격의 지원금은 둘 중 하나만 선택해야 하며,
금액이 더 높은 쪽이 자동으로 지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드시 주민센터에서 본인 상황에 맞는 상담을 받아보는 것이 가장 정확해요!


마무리

몰라서 못 받는 한부모가정 지원금, 꼭 챙기세요.

 

“중학생 아이 둘을 키우는 워킹맘인데, 몰랐던 아동양육비 신청하고 매달 46만 원 받고 있어요.”

 

2025년부터는 소득 기준도 완화되고 자녀 수 제한 없이 지급되기 때문에,
조금만 조건이 맞아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